인류가 농경문화를 정착시키면서 곡물을 주식으로 하게 되었으나, 인체는 곡물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 뿐 만 아니라 조절소인 무기질과 비타민을 필요로 하므로 이들도 늘 섭취하여야만 생명을 온전하게 보전할 수 있다.
그러나, 무기질과 비타민의 중요한 급원인 채소는 겨울에는 생산할 수 없었으므로, 가을에 생산한 채소를 이듬해 봄까지 저장하면서 섭취하여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채소를 소금물에 담가서 겨울동안 보관하면서 먹을 수 있는 김치를 발명 해낸 것이다.
문헌에 보면 김치로 생각되는 말은 약 3,000년 전의 詩經에 저(菹)라고 처음 등장하는데 이 글자는 조(阻)라고도 하였다. 이것은 채소를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키면 젖산이 생기고 이 젖산이 소금과 더불어 채소가 짓무르는 것을 막는다는 뜻에서 쓰인 것이라 하였다. 즉 저(菹)는 채소를 젖산발효 시켜서 신맛을 띠게한 채소가공식품인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김치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되나 문헌상으로는 고려중엽 이규보의 가포육영(家匍六詠)이란 시에 처음으로 염지(鹽漬)란 용어로 등장한다. 배추나 무를 소금에 적신다는 뜻으로 중국의 저(菹)가 우리 나라에서는 漬로 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면 김치란 말은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 박갑수씨는 침채(沈菜)란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였다. 즉 채소를 소금에 절여서 물속에 잠기게 하였으므로 한자식 표현으로 沈菜라고 표기하였고 팀채로 발음하였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음운변화를 받아서 팀채 - 딤채 - 짐채 - 김채- 김치로 되었다고 설명 하였다.
그러나, 무기질과 비타민의 중요한 급원인 채소는 겨울에는 생산할 수 없었으므로, 가을에 생산한 채소를 이듬해 봄까지 저장하면서 섭취하여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서 채소를 소금물에 담가서 겨울동안 보관하면서 먹을 수 있는 김치를 발명 해낸 것이다.
문헌에 보면 김치로 생각되는 말은 약 3,000년 전의 詩經에 저(菹)라고 처음 등장하는데 이 글자는 조(阻)라고도 하였다. 이것은 채소를 소금에 절여서 발효시키면 젖산이 생기고 이 젖산이 소금과 더불어 채소가 짓무르는 것을 막는다는 뜻에서 쓰인 것이라 하였다. 즉 저(菹)는 채소를 젖산발효 시켜서 신맛을 띠게한 채소가공식품인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김치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되나 문헌상으로는 고려중엽 이규보의 가포육영(家匍六詠)이란 시에 처음으로 염지(鹽漬)란 용어로 등장한다. 배추나 무를 소금에 적신다는 뜻으로 중국의 저(菹)가 우리 나라에서는 漬로 변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면 김치란 말은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 박갑수씨는 침채(沈菜)란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였다. 즉 채소를 소금에 절여서 물속에 잠기게 하였으므로 한자식 표현으로 沈菜라고 표기하였고 팀채로 발음하였을 것이라고 하였다. 이것이 음운변화를 받아서 팀채 - 딤채 - 짐채 - 김채- 김치로 되었다고 설명 하였다.